검정 마스크..라기보다는 검정띠로 눈을 가린 날렵하고 유쾌한 칼잡이가 군인들을 희롱하며 사방을 뛰어다니면서
신출귀몰하던 모습이 내가 기억하는 조로의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물론 그런 히어로물에 빠질 수 없는 이쁘고 당찬
여인도 한 명 있었던 거 같고. 그랬던 기억, 뮤지컬을 보고야 조로가 어떻게 탄생했으며 그의 '레전드'가 어떻게
마무리되는지를 완성된 스토리로 만끽할 수 있었다. 인터미션 포함 190분의 시간이 순식간에 지나갔다는 느낌.
느낌이 군데군데 묻어나는, 뭐랄까, 집시풍이라면 딱 좋을 듯한 그런 분위기를 풍기고 있었다. 가볍지 않은 비장함과
무거움을 품고 있으면서 동시에 유머러스함과 여유로움을 품고 있어 다소 위태하고 조마조마했던 게 조로 혹은 디에고의
양면성이라면, 그걸 좀더 부드럽게 파티나 주술 의식같은 분위기로 버무렸던 게 이네즈와 집시들의 역할 아니었을까.
감정이 격해져 숨이 막히거나 좌절에 몸부림치는 캐릭터나 마냥 조증에 걸린 유쾌한 캐릭터가 아니라, 그 두 면을 모두
품으면서도 어느 순간 상황에서 한발 물러나 관조할 수 있는 여유로움을 부여하는.
그런 집시의 도움이 있었기에 조로의 전설이 해피 엔딩으로 마감될 수 있었을지 모른다. 아니라면 여느 열혈남아의
영웅들이 그러듯 끓는 피를 못 참고 스스로 폭발해버리거나, '지킬앤하이드'의 그처럼 브레이크 없이 마냥 폭주하며
비극으로 치달았을지 모르겠다. 그래서, 뮤지컬 조로는 '지킬앤하이드'와 같이 점증하는 긴장감과 폭발하는 절정감이
부족하다고 말할 수도 있겠다. 클라이막스에서 확 치고 들어가는 느낌이라거나 스피커가 찢어질 듯 열창하는 배우들의
노래를 기대했다면 조금 아쉬울 수는 있겠지만, 집시의 왕 디에고/조로와 다른 인물들이 보여주는 감정의 진폭과
감정이 오갈 때 느껴지는 그 쫀득한 탄성을 감지하며 본다면 아쉽지는 않을 거 같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무척 스피디하고 군더더기없이 진행된 1부에 비해 2부에는 조금 속도가 느려지면서 늘어진다는
느낌을 받았다. 속도의 완급 조절이야 문제삼을 게 아니지만, 대사가 너무 많아 임팩트가 떨어진다 싶었고, 좀 장식적이다
싶은 장면들도 있었고. 아무래도 조로와 라몬과의 갈등 관계가 그렇게 산뜻하고 거침없이 내달릴 수는 없는 복잡하고
미묘한 것이어서 그랬던 탓이 크기 때문일 거 같긴 하다. 그렇게 본다면, 속도를 조금 늦추고 라몬의 감정과 사고를
헤아리고 그들의 관계가 그토록 파국으로 치달았던 이유를 설명하는데 힘을 기울이는 건 그 설득력과 성공 여부를
떠나서 당연할 수도 있겠다.
다른 것보다 하나 덧붙이고 싶은 건 무엇보다 공연장, '블루스퀘어'를 줄여서 '블쾌'라고 불리는 이유가 있는 것 같았다.
무대가 보이지 않아 오디오석이라 불린다는 3층의 자리는 모르겠지만, 1층에 앉아있으면서도 안내요원들이 마치 경비원이나
사나운 감시원인 듯 횡행하는 걸 봐야 했다는 게 꽤나 불쾌했다. 극이 채 끝나기도 전에 정신사납게 통로를 뛰어다니는
것도 그렇고, 말투에 묻어있는 틱틱거리는 거칠함도 그렇고. 게다가 막이 오르고 나서도 쉼없이 손님들을 들여보내는
무개념은 또 뭔지. 여러모로 '블루스퀘어'는 불쾌했던 공연장이었다.
'[리뷰] 여행과 여행사이 > 기타(공연/전시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런 사진을 찍고 싶어요.. (2) | 2011.12.30 |
---|---|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 '하늘에서 본 지구' 사진전. (4) | 2011.12.23 |
수리수리 마하수리, 그들의 지구음악은 공연장에서 느껴야 진짜. (4) | 2011.10.19 |
야니(Yanni) 콘서트의 재구성. (0) | 2011.10.17 |
소녀시대 컴백 임박! 따끈한 공연사진 (@ 알펜시아 메인스타디움) (2) | 2011.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