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사고능력을 제한하는 건 뭘까. 돈일까, 명예 혹은 자존심일까. 어떤 게 더 강력할까.


그런 질문을 던지는 영화일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들었다. 살인사건에 대한 조각난 팩트들이 몇 개 널려있고,

그 팩트들을 어떻게 꿰어서 어떤 시나리오를 만들어낼지, 누구에게 죄를 물어야 할지는 자신의 입장이나

분노 유발조건들이 좌우하는 건 아닐까 싶었던 거다.


살인사건이 있었고, 검사(박희순) 측은 피살자의 남편(장혁)을 범인으로 확신한다. 그건 박희순과 장혁 간

이전에 얽힌 악연과 상처받은 자존심에서 출발한 건지도 모른다. 한편 변호사(하정우) 측은 장혁을 범인으로

모는 검사에 대항해 그가 범인이 아니라는 시나리오를 정밀하게 만들어간다. 그리고, 명예 혹은 자존심으로

눈먼 검사와는 달리, 변호사는 피고와의 계약관계로 구속받고 있다. 돈으로 얽혀버렸다.


그리고 '국민배심원'들도 있다. 최근 국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온갖 오디션 프로그램처럼 그들

역시 전문성이나 객관적이고 엄정한 판단력보다는 감정과 드라마틱한 연출에 영향받는 대중에 가까운 존재로

묘사되는 것 같다. 그들 역시 각자의 선험적인 가치관이나 입장에 따라 주어지는 파편들을 꿰고 있을 거다.


결국 누가 틀렸는지, 누구의 추리와 시나리오가 더 왜곡되어 있었는지를 보게 되는 게 이 영화의 최종장이다.

그 과정을 얼마나 스릴있고 흥미진진하게 풀어냈는지, 라는 점에서라면 정말 기대 이상으로 멋진 영화였다는

생각이다. '유주얼 서스펙트'의 그 호흡마저 흐트러뜨리던 반전과 긴박감에 가장 가까웠던 한국 영화 아닐까.


다만, 마지막에 굳이 그렇게 착하고 자상한 사족이 붙었어야 했을지가 좀 아쉽다. 영화를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조금씩은 느꼈을, 갑자기 맥이 탁 풀리며 술술 '권선징악'의 급마무리로 돌진하는 엔딩은 차라리

없느니만 못하지 않았을까. 그냥 범인의 악마성을 드러내거나 폭발시키는 순간으로 열어두는 건 어땠을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