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지 착취나 억압의 피해자가 된다고 해서, 혹은 그에 저항한다고 해서 왜 그런 일이 일어났는지 그리고 이를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 자연스레 알게 되는 것은 아니다. 페미니스트를 자처하는 여성들이 늘어나고 심지어 남성들도 페미니스트임을 자처하는 것이 트렌드라곤 하지만, 페미니즘이 무엇이며 어떤 문제의식과 목적을 갖고 있는 것인지 차분한 이야기를 나누기란 좀처럼 쉽지 않다.

저자는 명료하게 말한다. 페미니즘이란 성차별주의와 그에 근거한 착취와 억압을 끝내려는 운동이라고. 남성을 여자 아래로 끌어내리고 여성을 남자 위에 세워올리는 게 아니다. 남성과 여성간의 젠더 전쟁을 벌이자는 건 더더욱 아니다. 남성과 여성 모두에 내면화된 성차별주의를 바꿔나간다는 건 그저 '피해자 여성'이 '가해자 남성'에 분노한다는 것 이상을 말함이다.

외부의 적에 맞서기 위해서는 우선 내면의 적부터 변화시켜야 한다. 스스로 바뀌기 위한 진단과 공부가 필요한 거다. 자신과 타인에게 무엇을 기대하는지, 어떻게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지 하나하나 철저히 되짚어 보아야 한다. 여성 내부에 체화된 가부장제적인 감수성과 인종적, 계급적인 차이를 무시하는 태도를 유지하고서는 기득권에 편승중이라며 공격받는 남성과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는 셈이라고 생각한다.

역사를 돌이켜보면 인종, 계급, 민족 등 스스로가 놓인 지형에 대한 성찰과 고민없는 일부 얼치기 페미니스트들의 주장이 기존 가부장제와 자본주의의 수혜자들인 남성과 얼마나 닮았던가. 강자와 약자가 그대로 온존하는 시스템을 그대로 둔 채로라면 페미니즘이란 단어는 개인의 출세나 자기만족을 위한 하나의 발판처럼 쓰이고 있는 걸지도 모른다. 비단 페미니즘에 한정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분명한 건 이런 '미러링'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여성과 남성 모두, 페미니즘의 섬세하고 다채로운 풍경을 조심스레 따라가볼 필요가 있는 거다.


#모두를위한페미니즘 #페미니즘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지나가던 차, 태권도 학원차였다.

효孝와 예禮를 커다랗게 적어두고 태권도를 익히면 저런 것들도 덩달아 키워진다고 말하려는 듯.

그러다 눈에 들어온 건, '이차에는 미래에(의) 영부인과 대통령이 타고 있습니다'란 문구.

여자는 영부인이고 남자는 대통령인 건가, 조금 뭔가 배려랄까 생각이 아쉽더라는.


대통령은 본인의 힘으로 얻는 직업이랄까, 지위가 되겠지만..영부인은 역시 결혼빨인데.

그리고 굳이 하나 더하자면, 대통령이, 영부인이 훌륭한 사람인가? 이미 그들이 그렇지 않단건

숱한 사례들이 보여주고 있는데다가, 요새같은 때라면 오히려 저런 문구는 자칫 폭력성을 더욱

부추기는 역할을 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다.





신화, 인류 최고의 철학 (보급판 문고본) - 10점
나카자와 신이치 지음, 김옥희 옮김/동아시아

신화란 뭘까. 고대인들에게 신화가 뭔지를 알려면, 신화와 함께 그들이 세계를 이해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프레임을 제공했던 종교와 비교해 보는 게 필요하다. 종교는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대면하는

것이 아니라 있어야 할 세계, 삶의 고단함 혹은 무의미함을 버티어낼 수 있는 환타지의 세계를 그려내

왔다는 건 많은 사람들이 지적해 온 대로다. 당위론적이고 목적론적인, 인간이 이해하고 납득할 수

있도록 재구성된 세계는 비록 그들에게 맑스가 말한 것과 같은 '마약'이 되어줄지언정 날 것의 현실

세계를 파헤치고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는 못한다.


그렇게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대면하고 탐구하는 걸 두고 과학이라고도 하고 철학이라고도 하지만,

저자는 다름아닌 신화에 그 근본정신이 오롯이 담겨있다고 한다. 별들과 자연 안에서의 인간의

위치라거나 자연의 질서, 인생의 의미 등에 대한 현실적인 통찰력과 분석이 신화 속 은유와 이미지에

담긴 채 후세로 전달되어 왔다는 거다. 그 안에는 먹기 좋게 설탕으로 코팅되거나 듣기 좋게 위로와

소망이 뒤섞인 환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더러는 냉혹하고 잔인하게 인간의 욕망과 어두운 이면까지도

까발리기도 하는 게 신화. 그래서 저자는 아마도 인류의 역사를 '신화 VS 종교'의 큰 그림으로
 
파악하는 것 같다.


이미 고대인들이 폭넓게 공유했던 신화로부터 오늘날 인류가 꽃피운 과학과 철학의 뿌리를 찾을 수

있다는 사실, 전세계의 신화에서 인간과 세계에 대한 복잡한 사유와 사고 논리의 원형이랄 수 있는

것들이 공유되고 있다는 사실은 꽤나 충격적인 이야기였다. 신화래봐야 특정 지역의 특정 부족에서나

공유되는 애매모호하고 흐릿한 민담 비스무레한 거겠거나 생각했던 '곰의 자손'이 무식했던 거다. 

일본의 철학자이자 종교학자인 저자는 이에 대해 북아메리카와 유럽, 일본과 아시아의 여러 신화들에서

공유되는 이미지와 상징들이 어떻게 연관되고 동일한지를 보여주고 있지만, 무엇보다 결정적인 건

다름아닌 '신데렐라' 이야기.


신데렐라 이야기는 디즈니 애니메이션으로 전파되기 이전에도 이미 다양한 버전의 이야기로

유럽 곳곳에 남아있었다는 건 모두가 아는 사실. 그렇지만 인도네시아나 뉴기니, 중근동, 심지어

중국에서도 신데렐라 이야기가 오래전부터 전승되어 왔다는 건 어떨까. 물론 조금씩의 변형이나

강조점의 차이가 나타나기는 하지만, 이야기가 전승되는 사회 배경의 차이라거나 사람들 관심사의

차이에서 비롯될 뿐 신화적 상징과 정연한 사고와 메시지를 분명히 갖고 있다는 거다. 중국에서의

신데렐라, '섭한' 역시 신발 한짝을 놓고 도망나오며 북아메리카 인디언의 신데렐라 패러디 '누덕누덕

기운듯한 피부의 소녀' 이야기 역시 신발에 대해 세심한 묘사를 공유하고 있는 식으로 말이다.


저자가 그 이야기들을 어떻게 풀어갔는지, 어떤 부분을 주목했는지에 대해서 시시콜콜 반복하는

것보다 책을 읽고 싶은 맘을 동하도록 여백으로 남겨두는 게 나을 거 같다. 다만 다짜고짜 그의

흥미로운 결론으로 점프해 들어가자면, "신데렐라가 춤을 춘 곳은 저승 세계였으며, 그녀가 놓고 간

신발 한 짝은 그녀에게 새겨진 저승세계의 각인이고, 그것을 찾기 위해 왕궁에서 저승사자를 보낸 것"

이란 거다. 글쎄, 이렇게만 적어두면 뭐가 이렇게 황당해, 라고 여길지도 모르겠지만, 책을 다 읽고 나서

나로서는 저 결론이 꽤나 합리적이고 일리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더구나 신화라는 것이 갖고 있는

깊이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으니, 그 정도로 머릿속을 흔들어놓을 수 있는 책이라면

강력 추천함직 하지 않은가.



또 하나, 요새 이런저런 식으로 동화를 뒤집어 패러디하거나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교정하는 시도를

많이 볼 수 있는데, 이 책에서는 정말 제대로 된, 게다가 재미까지 보강한 패러디가 뭔지를 보여주는

이야기가 담겨있다. 신데렐라 이야기의 경박함이나 현세적 속물성, 여성의 수동성, 외모지상주의 같은

부분까지 굉장히 비판적인 시각에서 재구성한 북아메리카 인디언의 이야기는, 그전까지 알아왔던

신데렐라 이야기를 뛰어넘는 깊은 감동을 남긴다. 패러디라기보다는 오히려 신화의 원형에는 훨씬

가깝게 접근한 거 아닐까 싶기도 하고. 이 이야기를 읽는 것만으로도 이 책의 가치는 충분하다.



p.s. 검은괭이2님께서 문득 선물해주셨던 책 한 권. 왠지 내가 좋아할 거 같아 검괭이님께서 좋아하는

책을 선물하셨다 했는데, 대체 어딜 보고 그런 판단을 내리신 건지 알 수 없지만 결과적으로는 매우매우

정확한 판단이셨다는. 역시 '웃고 즐기는' 별자리 이야기꾼이신지라, '물병남자'인 내 취향이나 흥미를

잘 파악하고 계셨던 걸까나. 다시한번, 고맙습니다~^-^*




* 알라딘 11월 이달의 TTB에 선정되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