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에 대한 로망이 늘 있었다. 제주도처럼 너무 커서 육지에 사는 것과 별반 느낌이 다름없는 거 말고-제주도가 


섬이라면 왠지 호주도 섬이고 유라시아 대륙도 섬이라고 해도 별로 억지스럽지 않은 것 같달까-섬 끝에 서면 섬의 


반대편 끝이 보이는 그런 작은 섬에 머물고 싶단 생각. 울릉도가 그랬고 그보다 더 작게는 가파도가 그랬으며


승봉도 역시 그런 섬이었던 셈이다. 


인천 연안부두에서 자월도, 이작도를 거쳐 승봉도까지 닿는 뱃길은 대충 한시간. 새로 제작한 게 틀림없어 보이는


구명조끼 입는 방법에 대한 동영상을 관람하고 잠시 바다구경을 하고 나면 금세 닿는 거리지만, 바다를 사이에 둔


덕분에 분위기며 풍경이 확 다르다. 


피서철을 지난 때문이겠지만 거의 보이지 않는 여행자들, 그저 곳곳에 점점이 박힌 듯한 현지 주민분들.


숙소는 되는대로 도착해서 구해야지, 라는 생각으로 왔던 터라 무작정 선착장에서부터 바다를 따라 걸었다. 


내키는 풍광이 있는 곳에서 가장 가까운 숙소를 잡을 생각이었는데 이렇게 멋진 바닷가를 앞에 품은 곳에


맘씨 좋은 아저씨가 살고 계신 민박집이 있었다.


(라면에 소주를 함께 기울이며 이런저런 좋은 말씀 해주신 아저씨, 감사합니다~*)



내가 도착한 날 아침에 들였다던 따끈한 강아지. 어미품에서 떨어진 충격이 커서인지 엄청나게 낑낑거리던


녀석의 이름은 개똥이.



그리고 나비. 사람을 무서워하지도 귀찮아하지도 않던 순둥이 개냥이의 이름치곤 다소 새초롬하다지만,


눈빛의 요염함이 뒤지지 않으니 인정.



민박집 앞마당의 낡고 닳은 파라솔, 저 그늘에 의지해서 책도 읽고 멍하니 바다를 바라보기도 하고, 참 좋았던 곳.


그리고 설렁설렁 돌아봐도 세네시간이면 한바퀴를 돌아본다는 승봉도 산책에 나섰을 때 제일 먼저 눈에 띄인 화장실.


남자화장실은 도약하는 돌고래, 여자화장실은 해바라기(?) 그림을 붙여둔 게 뭔가 의미심장하다.



확실히 서해바다는 갯벌이다. 물이 쓸려나간 전장에 남은 흔적과 잔해를 헤집고 다니는 자잘한 생명체들.


그 와중에는 제법 우아하게 뒤뚱거리며 이런 자국을 남기는 녀석들도 있고.




갯벌길을 따라 한바퀴 돌기에는 중간중간 바닷물로 끊긴 구간도 있고 제법 난코스여서 다시 섬으로 상륙. 



승봉도 삼림욕장 안내도. 피톤치드를 듬뿍담뿍 흡수하실 수 있으시단다.



무성한 녹음, 그리고 잘 닦였지만 차가 거의 다니지 않는 찻길.




김인지 해초인지 뭔가 양식을 위한 구조물이 설치된 해변가를 따라 섬의 끄트머리, 나무가 많이 나서 목섬이라는 


이름이 붙은 작은 섬으로 설렁설렁.



나무데크로 길도 잘 갖춰져 있고, 걷는 와중에 쉼없이 우측으로 지나는 거대한 고래같은 화물선들 보는 재미도 쏠쏠.




목섬 역시 썰물 때는 이렇게 육지랑 이어진 채, 밀물 때나 조금 바닷물로 가로막혀서 섬다운 모양새가 되는 곳이다.


조그마한 섬이니까 에라 모르겠다, 하고 길을 벗어나 아무렇게나 섬의 반대편으로 접어든 참인데..숲이 우거지고


풀떼기가 무성하게 자란 곳에는 역시 함부로 발딛는 게 아니다. 미아되서 해경에 신고할 뻔.


이름붙여진 돌들에서 그 이름에 걸맞는 형상을 찾아내기란 또다른 수수께끼를 푸는 기분이다. 차라리 그냥 내멋대로


딱 보여진 형상으로 새롭게 이름을 붙여주는 게 좀더 유쾌한 수수께끼일 거 같지만. 대체 촛대바위가 무슨 돌에 


붙은 이름인지 몰라 사방을 헤매다가 포기, 내눈엔 그저 황량하고 거친 돌들 뿐인데. 


굳이 이름붙이지 않아도 괜찮지 않을까, 가 솔직한 심정이겠다.






핏빛 부서지는 도끼질의 향연

영화는 굉장히 세다. 감독의 전작 '추격자'에서 송곳에 찔릴듯 말듯한 아슬아슬한 장면이 허리춤서

발끝까지 저릿저릿하게 만들었다면, '황해'에서는 거침없이 후비고 들어간다. 식칼이던 도끼던,

심지어는 족발 뼈다귀로 사람을 쑤시고 갈기는 장면들은 굉장히 리얼하고 잔혹하다. '스파르타쿠스'와

같은 화려하고 아름답게 꾸며진 핏밫 영상이 아니라 그냥 정말 사람을 때려죽임 저렇게 죽겠구나,

저렇게 피가 쿨럭쿨럭 솟아나와 끈적하게 흐르고는 뚜욱 뚝 떨어지겠구나, 싶은 거다.


사람들을 움직이는 건, 사랑.

한 사람을 노리는 두 무리의 집단이 있고, 각각의 필연적인 이유가 있다. 누군가는 아내를 구해오고

복수하려는 양가감정으로, 누구는 자신의 '애인'과 바람난 '형님'에 대한 복수심과 질투심으로, 누구는

새로운 사랑을 위한 '옛사랑'의 종말을 고하려는 의지와 사랑의 힘으로. 연변에서 택시기사를 하던

구남(하정우)이가 사람을 죽이기로 하고 한국에 들어오는 순간 발동되는 톱니바퀴는 두 집단의 움직임

속에서 더욱더 복잡하게 얽혀 들어가 그를 빼도박도 못하는 상황으로 옭아매고 만다.
 

다른 무리들도 마찬가지, 예상치 못하게 중첩된 살의(殺意) 속에서 난마처럼 얽혀가며 서로를 도륙해

나간다. 그 무참하고 거침없는 살육전에 몰입할 수 있는 건, 그들이 그렇게 움직일 수 밖에 없었다는 걸

납득했고 이해했기 때문일 거다. 모든 살인과 폭력의 이면에는 명확한 대상을 향한 분노와 복수심이

자리잡고 있었고, 그 이후에도 점차 들불처럼 번져만 가는 상황을 통제하고 마무리짓기 위한

헛되지만 의미있는 폭력이 이어졌달까. 처절하고 잔인한 도끼질의 향연을 눈크게 뜨고 지켜봐야 했다.


단 한 명 유일하게 돈을 좇아 움직이는 인물, 개장수

다른 메인 캐릭터들은 어쨌거나 '사랑', 혹은 사랑에서 파생된 감정찌꺼기들로 채찍질당하며 칼질하고

도끼질을 한다지만, 단 한명 유일하게 초연한 자세로 사람들을 꼬챙이로 꿰는 사람이 있다. 개장수(김윤석).

그는 여러모로 흥미로운 인물이다. 굉장히 심플하고, 또 굉장히 단호하면서 냉정한 인물이기도 하다.

그를 움직이는 동력은 오로지 돈, 그리고 그의 행동은 깔끔한 금전관계의 그것처럼 명료하고 깨끗한

느낌마저 드는 거다. 그런 단순한 사고회로, 행동패턴을 따라간 그의 길 끝에는..


구남은 위로받았을까.

피가 철철 흘러넘치는 영화가 얼마나한 빛을 보여주랴만은, 영화는 비극이다. 모두가 상처투성이가 되어

사랑을 잃고 우정을 잃고 돈을 잃은 셈이다. 그래도 하나, 조그마한 빛망울은 남는 것 같다면 너무 자의적인

기대일까. 구남(하정우)이 그의 아내를 그려보는 환상이 시시각각 변해가는 모습에서 그런 위로의 단편을

발견한 건 나만은 아닐거라고 생각한다.


애초 다른 남자를 올라타고 한껏 즐기던 아내의 환상은, 정작 조선족이 고단한 삶을 이어가는 한국의 현실을

보면서 다른 환상으로 대체된다. 이제는 이곳에서 의탁한 남자에게 얻어맞고 쫓겨나는 그런 환상(상당부분

현실과 맞닿아있던)으로 괴로워하던 구남이 마지막으로 봤던 건, 세련되게 차려입고 연변의 기차역으로,

자신과 아이에게 돌아온 아내의 모습. 구남은 위로받았을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