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짧고 강렬한 기억/Korea+DPRK
이런 공연은 처음, 안동 양반댁에서 만끽하는 예술공연.
ytzsche
2010. 12. 6. 12:37
기와지붕 그림자가 그대로 떨어지는 무대에, 공연자 뒤에 나무대문이 바람에 흔들거리며 슬쩍
열렸다 닫히는 배경, 그리고 무엇보다 문화재로 지정될 만큼 고아하고 아름다운 전통 한옥
툇마루에 이불을 깔고 다닥다닥 앉아듣는 객석의 운치라니.
건물인데 여전히 그 후손들이 살면서 수백년의 숨결을 입히고 있던 곳이다. 매년 4월부터
10월까지 이 곳 '수곡고택'과 인근 '고산서원'이나 '묵계서원' 같은 곳에서 야간 고가공연이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내가 11월에 가서도 공연을 볼 수 있던 건 일종의 특별공연, 밤날씨가
조금 쌀쌀했지만 공연을 즐기기엔 무리없던 가을밤.
사실 가을이라기도 뭐할만큼 기온도 떨어졌고 해도 금방 지는 11월 말의 안동. 아무래도 서울보다
지방으로 내려오면 더욱 날씨도 춥고 바람도 생생하게 느껴지는 느낌이 있다.
수도꼭지마저 나뭇빛 은은한 건물의 풍채와 운치에 묘하게 합류하는 공간에서 공연이 시작되길
기다리는 기분이란 건 굉장히 묘하다. 자꾸 사방을 두리번거리게 되는 거다. 계속 내 시선을
붙잡았던 건 그 수돗가 바닥에 꼼꼼하게 박혀있던 돌멩이들, 기왓장과 맷돌과 다듬잇돌이 얼핏
무질서한 듯, 그렇지만 흔들림없이 제자리를 박은 채 박혀있던 모습이 재미있었다.
덥썩 대금을 집어들었다. 안동국악단에서 '450년 사랑'이란 제목으로 공연하고 있는 이 이야기는
퇴계가 48세 때 단양군수로 봉직하던 9개월 동안 18살짜리 기생 두향이와 나눴던 짧은 사랑,
그리고 20년 동안의 긴 이별동안 서로를 그리며 끝내 다시 한번 보지도 못한 두 사람의 간절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그리게 했다. 차갑고 둔탁한 가을밤에 녹아드는 대금 소리가 그런 로맨틱한
이야기의 뒷맛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것 같았다.
달리 두텁고 허스키한 목청으로 노래를 하는데에는 늘 놀라고 마는 거다. 이끼가 나무껍질처럼
덕지덕지 붙어있는 기와지붕 아래 황토벽면을 양쪽 배경으로 하고는, 나뭇결이 그대로 살아있는
기둥 사이에 선 명창의 노래를 듣다 보니 나 역시 한복을 입고 조선시대 어디메쯤에서 살고 있는
듯한 착각마저 일렁인다.
노래를 하던 와중에 자꾸 문이 열리고 바람이 들어와 못내 신경이 쓰였었다.
폭신하고 따뜻한 이불이 깔린 대청마루 위에서 김이 모락모락 나는 따뜻한 고구마를 까먹으며
퍼지고 앉아 노래를 듣다가 끝내 따뜻하게 덥혀놓은 내 자리와 고구마를 마다하고 마당 여기저리로
튀어나와 사진을 찍고 말았던 건, 이 아가씨가 넘넘 맘에 들어서라기보다는 그저 노래가 넘 좋았기
때문...정도로 해두는 게 좋겠다.
아무래도 줄이 스물몇개씩 잔뜩 있어서 한국악기는 아닌 거 같다 싶었는데 알고 보니 중국악기인
고쟁, 연주자 역시 한국에 공부하러 왔다는 중국인이었다.
저력있는 악기, 여러 개량이 있었고 다양한 형태로 갈려 발전하기도 했다지만, 아무래도
현을 뜯으며 내는 그 소리에 담긴 원초성이랄까, 직접 감성에 호소하는 듯한 적나라함은
마력적이다. 더구나 그 연주자가 가늘고 긴 손가락을 줄 위에서 휘저으며 움직이는 모습까지
함께 보게 되면 춤을 추는 것 같기도 하고, 그 자체 하나의 예술이라 생각하게 되는 거다.
더구나 이런 기와 지붕의 그늘이 드리워진 공간, 이제는 문을 꼭꼭 닫아걸어 내 맘도 조금
걱정을 덜어낸 공간에서 그다지 넓지않은 양반집 앞마당을 꽉 채워내는 선율이라면야.
이런 분위기가 자아내는 묘하지만 매력적인 느낌이 훌륭한 공연에 더해지니 더욱 기억에
남을 시간이 되는 것 같다. 이런 건 공연장이나 다른 곳에서는 맛보기 쉽지 않을 거다.
어느 때보다 많은 카메라 셔터소리를 들었던 거 같다. 솔직히 안동에서 볼 수 있는 공연의 퀄리티란
한 수 접고 너그러이 봐줘야 하지 않을까 하는 맘이 처음엔 있었는데, 첫번째 대금에서부터 두번째
판소리, 세번째 고쟁을 지나 마지막 이들 '소울'의 공연을 만끽하면서 그런 맘은 싹 지워버리고
말았다. 굳이 너그러이 봐줄 것도 없이, 이들의 공연은 정말 재미있으면서도 품위있었다.
리드미컬한 그림자를 드리우고, 담백하면서도 따뜻한 느낌의 황토벽이 공연장을 아늑하게
감싸고 있으며, 야트막하고 완만한 지붕 너머로 별빛이 쏟아지는 안동의 맑은 밤하늘까지.
즐기던 사람들. 꼭 여미고 있던 이불과 담요들을 쥐고 있던 손이 조금씩 박수치는데 동원되더니
공연 끝날 무렵에는 전부 무장해제, 추위고 뭐고 공연에 몰입해선 한마음으로 박수를 쳤다.
나무기둥의 질감과는 사뭇 다른 느낌의 붉은 나무기둥. 까만 옥수수의 알이 탱탱하게 박힌 건
여전하고.
열고 있다는 현수막이 내걸려 있다. 자세한 내용은 들고 온 팜플렛에 자세히 적혀 있어 아예 스캔.
될 거 같다. 아무래도 11월 이후부터 3월까지의 동절기에는 날씨도 춥고 공연자들도 제 솜씨를
내기에는 애로가 없지 않을 테니까.
굉장히 궁금해졌다. 그저 건물 껍데기만 이리저리 구경하고 마는 여행이 아니라, 그 툇마루에
앉아 조선시대 어디메쯤으론가 옮겨간 느낌에 젖어 이런저런 공연을 만끽하는 여행을 내년엔
떠나야겠다. 그야말로 '만끽', 흠뻑 그 정취에 젖을 수 있는 여행이 될 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