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대륙의 보물들 중에서도 귀중하다는 것들만 선별해 무사히 타이완 섬까지 수송해냈다는

그 군사 작전 자체의 이야기만으로도 경이로움을 들게 하는 곳, 타이완의 고궁박물관이다.

부패하고 무능력하던 장개츠의 국민군이 패배를 거듭하며 결국 대륙 밖으로 축출되는 와중에도

그때까지 발굴된 중국 대륙의 국보급 문화재들을 모으고 선별하고 안전하게 포장해서 바다건너

타이완섬까지 수송하는 과정이라는 건, 어쩌면 그 자체만으로도 또 하나의 전쟁이었을 거다.


그 곳을 둘러보다가 문득 '자연이 부르는 소리'를 들은 사람들은 다소 당황하지 않을까 싶었다.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이 한 곳에 모여 있지 않고 이쪽 끝과 저쪽 끝에 떨어져 있어서, 중국의

귀중한 유물들을 구경하다가 타이밍이라도 놓칠라 치면 저런 일이 종종 생길 게다. 남자가

다짜고짜 덥썩, 에라 모르겠다 하며 여자화장실로 뛰어드는. 


*  타이완 고궁박물관에서 황제의 다과를 맛보다.

중례츠, 한자 그대로 읽으면 충렬사. 타이완의 '호국영령'들을 모셔둔 일종의 사당이랄까, 아님

현대적인 단어로 고치자면 '현충원' 정도 되려나.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쳤다고 선전되는

애국심의 화신들을 모셔두고 살아있는 사람들과 후세의 귀감으로 활용하기 위한 그 공간에서

정작 살아있는 사람들을 위한 기본적이고 인간적인 공간은 꽤나 홀대받고 있었다는 느낌.


* 파란하늘, 하얗게 작렬하는 태양 아래 붉은 피 흥건한 중례츠(忠烈祠),




* Mother nature is calling me, 직역하면 '자연이 나를 부르고 있어' 정도가 되겠지만 보통

이 문장은 허물없는 사이에서 화장실 다녀오겠다는 의미로 새겨지게 됩니다. 여행을 다니며

결코 빠질 수 없는 '답사지' 중 하나가 그곳의 화장실이란 점에서, 또 그곳의 문화와 분위기를

화장실 표시에까지 녹여내는 곳들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 국내외의 특징적인 화장실 사진을

이 폴더 'Number one or number two?'에 모아보고자 합니다. 그 표현 역시 우리말로 치자면

'큰 거야 아님 작은 거야?' 정도겠네요^^





수원 화성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도 등재되어 있는, 조선 후기에 발현된 과학적/근대적

사고랄 수 있는 실학적 마인드와 서양의 축조술까지 참조하여 당대 축성 기술의 정수가 어우러진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재라고 할 수 있다. 어쩐지 나는 갈 때마다 날씨가 궂거나 비가 내려서

좀처럼 제대로 돌아보질 못하지만 그래도 갈 때마다 꼭 한 번은 들르게 되는 건 역시나 화장실.


그래도 이정도면 그림은 무난하지 않나 싶다. 갓쓴 남정네의 얼굴이 간략하게 그려졌고, 단정히

머리를 쪽진 아낙네의 옆모습 역시 간략하게 그려졌다. 둘다 코가 너무 크다거나, 남자는 파랑

여자는 빨강이라는 별다른 이유없는 색깔 지정이 좀 거슬리는 데다가 욕심을 낸다면 글씨체도

좀 이쁜 걸 골랐으면 어땠을까 싶긴 하지만 뭐. 다만 저 대충 만든듯한 파란 지붕의 성곽 모양

판 자체가 좀 많이 저렴해 보인다는 아쉬움이 크다.

정작 남자 화장실, 여자 화장실 앞에 붙은 표지는 좀 낫다. 팔각으로 된 틀에다가 전통 문양도

둘러넣으니 훨씬 깔끔해 보인다. 그래도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곳인데 조금더 세심하게

신경을 써 준다면 어땠을까. 



* Mother nature is calling me, 직역하면 '자연이 나를 부르고 있어' 정도가 되겠지만 보통

이 문장은 허물없는 사이에서 화장실 다녀오겠다는 의미로 새겨지게 됩니다. 여행을 다니며

결코 빠질 수 없는 '답사지' 중 하나가 그곳의 화장실이란 점에서, 또 그곳의 문화와 분위기를

화장실 표시에까지 녹여내는 곳들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 국내외의 특징적인 화장실 사진을

이 폴더 'Number one or number two?'에 모아보고자 합니다. 그 표현 역시 우리말로 치자면

'큰 거야 아님 작은 거야?' 정도겠네요^^

백제 문화가 만개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 건 '무령왕릉'의 발굴 이후였다고 한다. 우리가 갖고

있던 백제에 대한 이미지는 굉장히 막연하고 불분명해서, 예컨대 금동용봉대향로같은 굉장히

화려하고 세련된 유물을 발굴하고 나서도 이것이 백제의 것일지 아니면 중국의 것을 수입한

것일지 논란이 있었다고 할 정도였으니.

"儉而不褸, 華而不侈(검이불루, 화이불치 : 검소하지만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음)"라는 백제의 미감을 한껏 표현한 무령왕릉유적의 화장실엔 그래도 조금은 신경쓴, 백제의

미감엔 한참 못 미치고 복식 역시 조선의 그것을 연상시키지만, 아무튼 조금은 신경쓴 듯한

화장실표시가 있었다.

이왕 화장실 표시를 범용의 파란색 남자, 빨간색 여자 표시에서 벗어난 개성있고 문화가 담긴

뭔가로 바꾸고 싶었다면 조금만 더 신경을 썼더라면 어땠을까. 약간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지만

그래도 이 곳까지 생각이 미쳤다는 것 자체로도 분명 진일보한 건 사실일 터다.



2010 상해엑스포의 꽃은 역시 붉은 왕관 모양의 '중국관', 중국관의 번지르르한 외양은 멀리서부터

사람들의 시선을 붙박아놓고 화려한 내부로까지 자연스레 이끄는 힘이 있지만 그 세심한 내공이

느껴지는 건 그 건물 한구석에 붙어있는 화장실. 화장실마저도 중국의 문화를 세련되게 표현하는

공간을 활용하며 세심하게 꾸며놓은 걸 보면 얼마나 공들였는지 대략 가늠할 만하다.

중국 고대의 갑골문자에서 현대적인 번체자로 변천해 왔던 한자가 상형문자처럼 많이

형이상학적이고 기하학적이지만, 나름 현대의 글자 모습이 언뜻언뜻 비치는 수준으로까지

변화해 온 즈음의 글자들이 담백한 조명과 벽면 위에서 검고 단단하게 자리잡았다.

여자 화장실도 마찬가지, 좀더 안쪽에도 뭔가 글자가 그려넣어져 있었을 것 같은데 차마 더이상은

못 들어가고 살짝 입구에서 맛만 보는 정도. 그나저나 이런 한자는 그렸다고 표현해야 할지 아님

썼다고 표현해야 할지, 그림과 글자의 어중간한 경계에 서 있는 그 모양새가 새삼 신기하다.

한자문화권에 속해있다는 한국인의 눈에도 신기한데 이 곳을 찾은 다른 문화권의 외국인들에게야

더 말할 것도 없이 굉장히 신기할 거다.




@ 상해엑스포, 중국관.
남양주에 있는 '봉쥬르', 왔다갔다 하면서 늘 눈여겨 보게 되던 화장실의 간판이다.

파이프를 물고 살풋 구겨진 모자를 눌러쓴 텁수룩한 남자의 이미지는 꽤나 간지나는데

그걸로는 "자연의 부름에 응하는" 사람들의 다급한 눈에 쉽사리 띄기가 어렵다 생각했나보다.

밑에 굳이 '남자'라고 삐뚤하게 적힌 글씨가 재미있었다.

여자 화장실은 일종의 시각적 터부의 공간. 카메라를 들이대는 건 고사하고 눈길이 조금만 오래

그 안쪽으로 고정되어 있다 싶기만 해도 왠지 주변의 시선이 따가워지고 심장도 쪼글쪼글해진다.

그래도, 저 의지력 드높은 사각턱의 여인이 입술을 앙다문 표정은 아무래도 카메라를 부르더라는.

'남자'라는 글씨를 썼던 사람이 여기도 똑같이 쓴 게 틀림없다. 참 알기 쉬운 필체.



@ 남양주, 봉쥬르.

+ Recent posts